본문 바로가기

강원사회적경제 이야기782

【푼푼씨, 사회적경제에 빠지다】자연과 사람이 상생하는 곳, 옥상정원 chapter 24. 자연과 사람이 상생하는 곳, 옥상정원 Q. 푼푼씨, 오늘은 어떤 이야기 준비하셨나요?A. 오늘은 도심 속 옥상정원에 대한 이야기를 준비했어요.Q. 옥상정원이요?A. 네. 자연과 상생하는 옥상정원에 다녀왔거든요. 함께 해요. 어린 조카의 손을 꼭 붙들고 아직은 덜 여문 가을 길을 걷던 어느 날, 우연찮게 발견한 사마귀. 도로 위에서 펄쩍펄쩍 뛰는 모습을 보며 퍼뜩 이름을 떠올리는 대신, 그 모습이 신기한 듯 가까이 다가서는 조카의 팔목을 그러쥐며, “안 돼!”라고 말했습니다. 물음이 그득 담긴 조카의 눈을 보자니 제 머릿속에도 하나의 물음이 떠오릅니다. 나는 왜 안 된다고 한 걸까? [낯-설다] : 전에 본 기억이 없어 익숙하지 아니하다, 혹은 사물이 눈에 익지 아니하다. 우리는 흔히.. 2014. 10. 20.
【우리네 상품展】통통창의력발전소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자활기업, 협동조합 등강원도 사회적경제기업 및 단체들의 상품을 소개하는 "우리네 상품展".제품부터 서비스까지, 알찬 정보를 담아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통통창의력발전소 ● 기 업 명 : 통통창의력발전소 ● 주요 서비스 :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기획·개발 및 진행 통통창의력발전소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기획․개발하고, 진행하는 예술단체입니다. 공예, 미술, 연극, 미디어 등의 예술영역을 통합 놀이로 체험하고, 참여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통해 예술의 즐거움과 표현의 즐거움, 창작의 즐거움을 느껴볼 수 있습니다. * 주요 서비스 “학교문화예술교육” 학교 속에서 놀다! 청소년들이 직면해 있는 학교폭력, 자살충동, 집단따돌림, 학업 스트레스 등의 청소년 문제를 연극놀이, 영상놀이, .. 2014. 10. 10.
【SEESAW】서로를 키우는 협동의 네트워크 ② 서로를 키우는 협동의 네트워크 ② 함께 하는 분들 : (주)광고발전소 김은석 대표, (주)늘푸른환경 이형민 대표때와 곳 : 2014년 9월 22일 / 춘천 '커뮤니티카페 COOP-BOX' 강원도 사회적경제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만나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는 시간, 건물 청소라든가 길거리의 간판들은 일상적이지만,그만큼 관심을 갖고 살펴보게 되는 일은 아닐 텐데요.그런 일들을 각자의 자리에서 묵묵히 해나가며,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고민하고 협동하는 두 분의 이야기를 함께 할 수 있는 값진 시간들인 것 같습니다. 그럼, 공감토크 “서로를 키우는 협동의 네트워크” 두 번째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필요성을 공감하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네트워크 만.. 2014. 10. 10.
【SEESAW】서로를 키우는 협동의 네트워크 ① 서로를 키우는 협동의 네트워크 ① 함께 하는 분들 : (주)광고발전소 김은석 대표, (주)늘푸른환경 이형민 대표 때와 곳 : 2014년 9월 22일 / 춘천 '커뮤니티카페 COOP-BOX' 강원도 사회적경제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만나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는 시간, 이번 공감토크는 (주)광고발전소의 김은석 대표, (주)늘푸른환경의 이형민 대표와 함께 합니다. 광고발전소와 늘푸른환경은 각자의 분야에서 맡은 일을 통해 따뜻한 사회적가치를 실현하고, 지역과 함께 좋은 일자리 만들기에 힘쓰고 있는 기업인데요. 이번 공감토크에서는 이런 일들을 더욱 활발히 펼쳐 나가기 위한 ‘업종별 네트워크 구축’을 주제로 함께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그럼, 공감토크 “.. 2014. 9. 24.
【주파수 사회적경제Hz -김상도 칼럼】사회적경제와 자활기업의 역할 사회적경제와 자활기업의 역할 김상도 (홍천지역자활센터 센터장) ‘사회적경제’라는 용어가 우리 사회에 등장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처음에는 이 용어가 생소하게 느껴졌지만, 우리 사회에 자리를 잡은 지금 이 용어는 자연스러워진 것이 사실이다. 사회적경제의 사전적 의미에 따르면,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대안으로써 사회성, 공익성, 호혜성, 분배성, 지속가능성과 같은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사회적경제의 선두주자는 역시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자활기업, 협동조합 등 어쩌면 일반 시장경제에 조금은 밀리는 듯한 세력들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최근 협동조합법이 발효되면서 많은 협동조합들이 생겨났고, 지역마다 풀뿌리기업들을 육성하는 운동을 벌이는 바람에 마을기업들도 그 숫자를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 2014. 9. 23.
【SEESAW】프로보노, 재능과 생각을 나누다 ③ 프로보노, 재능과 생각을 나누다 ③ 함께 하는 분들 : 세스넷 프로보노허브센터 김정모 센터장, 선율노무법인 이희진 노무사, 전영진세무회계사무소 전영진 세무사때와 곳 : 2014년 8월 19일 / 춘천시 효자동 전영진세무회계사무소 강원도 사회적경제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만나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는 시간, 사회적경제기업의 프로보노로 활동하고 계시는김정모 센터장, 이희진 노무사, 전영진 세무사 세 분과 함께프로보노에 대한 여러 이야기를 나누었던 “프로보노, 재능과 생각을 나누다”가 어느덧 마지막 이야기를 전하게 되었습니다. 그럼 프로보노의 고민에 이어 프로보노 활동을 하며 느꼈던 보람과 개선 방안에 대한 생각을 담은 공감토크 “프로보노, 재능과 생각을 나.. 2014.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