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740

강원도사회적경제네트워크를 소개합니다 강원도사회적경제네트워크를 소개합니다 ▲컨설턴트 방식 공유 ▲기초진단 툴 브리핑 ▲기초진단 툴 개발 워크숍1 ▲기초진단 툴 개발 워크숍2 현장컨설턴트 양성과정 사진(2013.2~3) 강원도사회적경제네트워크는 건강한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도내 사회적경제 중간지원조직 실무자들이 모여 함께 학습하고, 토론하고, 공동사업을 하는 실무자 모임입니다. 네트워크는 2012년 지속적인 토론을 하였고, 2012년 11월 사회적경제 중간지원조직 공동비전 워크숍을 통해 공동비전을 마련하였습니다. 그리고 이후 2013년 4월에는 공동비전을 실현 하기 위해 9개의 도단위 중간지원조직 실무자들이 모여 네트워크를 구성하였습니다. 네트워크에는 총 9개 단체, 즉 도마을기업협의회, 도지역자활센터협회, 도사회적기업협의회, 도광역자활센.. 2013. 5. 8.
[뷰앤비전]재능기부, 사회적기업을 키우는 힘 급격한 산업화에 따라 야기된 사회 문제점들이 빈부격차, 불황, 실업, 환경파괴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십대 태반이 백수라는 '이태백' '한강에서만 용 난다' 등 사회 속에서 개인이 느끼는 불평등, 박탈감을 나타내는 표현들도 증가하고 있다. 다행스러운 것은 이러한 문제가 만연해질수록 반대급부로 최근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자, 가진 것을 함께 나누려는 사람들 또한… read more 출처 : 아시아경제 2013. 05. 08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3050811113748974&nvr=Y 2013. 5. 8.
지역자활기업 손잡았다 도내 5곳 센터 모여 자활협동조합‘가온' 출범 최근 사회적경제가 경제 살리기와 일자리사업의 큰 흐름으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자활협동조합이 출범해 귀추가 주목된다. 전북광역자활센터는 7일 전주지역자활센터를 비롯한 5개 지역자활센터의 개별 주거복지 자활기업이 모여 전북광역자활기업 주거복지협동조합을 구성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을 가진 자활협동조합은 개별기업의 사업영세성을 극복하기 위한 협업화 및 규모화를 통해… read more 출처 : 새전북신문 2013. 05. 07 http://www.s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32292 2013. 5. 8.
자활센터 환경개선사업단 “자전거 타고 충주호반 달리세요” 충주지역자활센터 환경개선사업단이 자전거 무료대여소를 운영하며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충주지역자활센터 환경개선사업단은 지역 내 방치된 자전거를 수집하고 이를 수리, 지난달 8일부터 충북도내수면연구소 인근에 자전거 무료대여소를 설치 무인대여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매주 월~토요일까지 운영되는 대여소에는 항시 5대 이상의 자전거가 준비돼… read more 출처 : 충청투데이 2013. 05. 07 http://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9139 2013. 5. 8.
“자활사업으로 더 나은 미래 꿈꿉니다” 市 자활기업 가람푸드, 양덕에 `본도시락` 개업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성공 모범사례로 꼽혀 포항시 인정 자활기업 가람푸드(대표 서정미)가 7일 북구 양덕동에 `본도시락`을 개업했다. 자활기업 가람푸드는 2003년 포항지역자활센터(센터장 김경모)이 운영하는 자활근로(주문요리) 사업으로 시작, 2004년 포항시 인정 자활기업으로 창업해 지난 10여년간 포항시로부터 도시락을 우선위탁 받아 지역의 결식 우려가 있는 저소득층 아동들에게 급식 도시락을 제공해왔다. 서정미 대표는… read more 출처 : 경북매일신문 2013. 05. 08 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286550 2013. 5. 8.
합천군, 마을기업 지원 약정 체결 합천군은 7일 군수실에서 안전행정부의 마을기업 육성지원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된 3개 단체와 지원 약정을 체결했다. 최종 선정된 마을기업으로는 신규사업에 용주면 가호마을의 ‘아름다운 호수 쌀 지역특산품화 사업’으로 지역에서 생산되는 흑미, 녹미 등의 기능성 쌀을 직접 도정, 소포장하여 판매하는 사업이다. 또 작년에 이어 재심사를 통과한 마을기업은 들깨기름 가공판매사업의 초계면 대평마을과… read more 출처 : 경남일보 2013. 05. 08 http://gnnews.co.kr/news/view.html?section=1&category=85&item=92&no=169596 2013.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