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많은 협동조합이 건강하고 튼튼하게 성장하기를 기원하며
강릉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사회적협동조합 조백훈 이사
2012년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이후 2022년 기준으로 2만 2천여 개의 협동조합이 설립되었다고 한다. 10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양적‧질적 성장이 있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협동조합 현장에서는 협동조합 운영에 있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현장과 분리된 법제도와 효과적이지 못한 정책의 문제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그보다 더 바탕적인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닐까?
즈음하여 협동조합 현장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의 근본적인 원인을 어떻게 볼 것인가와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깊은 성찰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첫째로 협동조합에 대한 다양한 교육의 실천이다.
협동조합의 가치와 원칙에 대한 이해와 실천을 도모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현재 협동조합 설립에 대한 지원은 행정적인 부분에 치우쳐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최초 설립 전부터 협동조합에 대한 심층적인 교육과 상담이 이루어져야 한다.
협동조합을 설립하고자 하는 대다수의 발기인(준비주체)은 협동조합으로 운영하려는 이유를 조합원의 욕구에서 찾지 않는다. ‘행정의 제안’, ‘지역에서의 역할’, ‘함께하는 사람들이 좋아서’ 등 협동조합의 원리와는 거리가 있는 답변이 돌아오곤 한다. 조합원의 욕구에 대한 공감대 부족으로 발생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동종 시장에서의 경쟁력 담보 방안, 자금 조달 방안, 법인으로서 행정처리(회계, 세무, 노무) 등 겪어보지 못한 문제에 마주하게 되면서 좌절에 빠지기도 한다.
또 하나의 커다란 문제는 조합원의 사업 참여 정도로 인하여 조금씩 게이트키퍼(문지기)와 소외자로 분리되고 갈등의 구조로 전환된다는 것이다. 물론 생각한 바대로 사업이 추진되지 못하여 맡은 바 역할의 균형이 깨질 수 있겠지만 설립 전부터 역할에 대한 깊은 협의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현상이다.
왜 협동조합으로 추진할 계획인지, 어떤 방식으로 운영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준비과정이 누락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들이다.
협동조합은 좋은 일을 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조합원의 욕구로 경제적인 활동을 하기 위한 법인조직이다. 발생하는 문제에 대하여 우리가 만들어가는 협동조합인 만큼 우리의 문제로 인식하고 해결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는 협동조합에 기인하고 있음에 틀림없지만 그럼에도 구체적인 교육과정을 통하여 협동조합 설립과정을 도울 수 있는 구체적인 구조를 마련하여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협동조합 간의 실질적인 협력관계망 구축이다.
협동조합은 협동조합 간의 협력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 연합회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활동이 일어나고 있으나 상호 간 운영에 많은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사업운영에 대한 실질적인 교류와 경제적 협력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중국에서는 꽌시(關係)라는 인간관계망을 통해 사회적인 결속(social bond)을 이루어내고 있다. 신뢰를 바탕으로 사회적‧경제적 상호 도움을 통해, 비공식적이면서도 의무에 가깝지만,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축하는 주축이 되고 있다. 협동조합도 지역적‧인간적‧조직적인 신뢰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실천함으로써 구체적으로 가능한 협력의 순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협동조합 정체성에 대한 행정의 인식 전환이다.
협동조합기본법은 협동조합의 가치와 기능으로 사회 양극화와 빈부격차 등 자본주의 경제에서 발생하는 사회갈등 요인을 치유하는 새로운 경제사회발전의 대안모델을 찾고자 제정되었다. 협동조합은 활동가들의 영역이 아니라 사회‧경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민에 의하여 운영되는 조직인 만큼 민관의 협치가 바탕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협동조합에 대한 행정의 인식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협동조합이라는 하나의 법인으로 볼 것이 아니라 제기하고 있는 사회문제 인식에 대한 깊은 관심과 애정으로 협동조합의 가치와 기능에 공감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협동조합과 사회적경제의 활성화를 통하여 사회‧문제 해결에 함께하기 위해서는 여러 방면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그 중에서도 협동조합의 원칙에 맞춰 꼼꼼히 준비하는 과정을 만들어내고 서로 도움으로써, 더 많은 협동조합들이 건강하고 튼튼하게 성장하기를 진심으로 기원해본다.
'강원사회적경제 이야기 > 현장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사이플러스】‘22년 자활한마당을 즈음하여,취약계층(저소득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는 자활기업을 이야기하다! (0) | 2022.09.29 |
---|---|
【우리사이 플러스】정선아리랑시장, 상생 플랫폼 ‘같이’ (0) | 2022.08.29 |
【우리사이 플러스】경북 경주, 2022년 대한민국 사회적경제를 말하다 (0) | 2022.06.29 |
【우리사이 플러스】시민과 도민에게 인정받는 사회적경제 (0) | 2022.05.23 |
【우리사이 플러스】화이통협동조합, 지역의 부지깽이가 되어 (0) | 2022.04.22 |